본문 바로가기
생활이슈

기준 중위소득 한눈에 보기: 2025·2026 최신 표·비율·예시 총정리

by economy news information blog 2025. 9. 24.
반응형

2025·2026 기준 중위소득을 가구원 수별 표와 급여별 비율(생계32·의료40·주거48·교육50)로 정리했어요. 인상폭과 예시를 보고 신청 가능성을 빠르게 점검해 보세요. 복지 자격은 ‘우리 집 형편’을 숫자로 비교해 판단해요. 이때 기준이 되는 값이 기준 중위소득이에요. 정부는 매년 가구원 수별 중간값을 고시하고, 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 등은 이 값의 일정 비율로 선정기준을 정해요. 2025·2026 최신 수치와 급여별 비율을 표로 정리했어요.

여기서 바로 확인하고, 마지막 표·다운로드 파일로 저장해 두면 신청 준비가 훨씬 쉬워져요. 2026년은 4인가구 기준 6.51%로 역대 최대 인상이라 영향이 커졌어요. 

 

 

 

기준 중위소득과 선정기준을 확인하는 대시보드

기준 중위소득·선정기준 핵심만 잡아요

기준 중위소득은 보건복지부 장관이 중앙생활보장위원회 심의·의결을 거쳐 고시하는 ‘국민 가구소득의 중간값’이에요. 복지급여 수급자 선정의 기준선으로 사용돼요. 

각 급여는 이 값의 일정 비율(생계 32%, 의료 40%, 주거 48%, 교육 50%)로 선정기준을 정하고, 신청 가구의 소득인정액이 이 기준 이하면 대상이 돼요. 2025·2026년에도 비율은 동일하게 유지돼요.

 

2025 기준 중위소득 표(월/원)

아래는 2025년 가구원 수별 기준 중위소득 요약이에요. (예: 4인가구 6,097,773원)

가구원 수 기준 중위소득(2025)
1인 2,392,013
2인 3,932,658
3인 5,025,353
4인 6,097,773
5인 7,108,192
6인 8,064,805

 

 

2026 기준 중위소득 표(월/원, 인상 반영)

2026년은 4인가구 기준 6,494,738원으로 2025년 대비 6.51% 인상됐어요. 전체 가구별 수치도 아래에 정리했어요. 

가구원 수 기준 중위소득(2026)
1인 2,564,238
2인 4,199,292
3인 5,359,036
4인 6,494,738
5인 7,556,719
6인 8,555,952

 

 

급여별 선정기준 비율(변동 없음)

급여별 선정기준 비율은 2025·2026년 동일해요. 생계 32%, 의료 40%, 주거 48%, 교육 50%. 예를 들어 2026년 4인가구의 생계급여 선정기준은 6,494,738 × 32% = 2,078,316원이에요. 

급여 비율 예시(2026·4인)
생계급여 32% 2,078,316
의료급여 40% 2,597,895
주거급여 48% 3,117,474
교육급여 50% 3,247,369

 

빠른 판별 예시(소득인정액과 비교)

가구의 소득인정액이 위 표의 급여별 선정기준 이하면 해당 급여 신청 가능성이 있어요. 예: 2026년 3인가구 소득인정액이 1,650,000원이면 생계급여 기준(5,359,036×32%=1,715, - 반올림) 이하라 가능성이 있어요. 실제 계산은 근로소득공제·재산 환산·부채 등을 반영해야 정확해요. 

 

 

FAQ

기준 중위소득은 누가 정하나요?

보건복지부가 중앙생활보장위원회 심의·의결을 거쳐 매년 고시해요. 

인상률은 매년 비슷한가요?

아니요. 2025년 4인가구 기준 6.42%, 2026년 6.51%로 두 해 연속 큰 폭의 인상이 있었어요. 

급여별 비율(32/40/48/50)은 자주 바뀌나요?

2025·2026년에는 동일하게 유지됐어요. 해마다 공표 내용을 확인하면 안전해요. 

우리 집이 경계선이면 어떻게 하나요?

가구특성 지출·근로소득공제·기본재산액·부채 반영에 따라 결과가 달라져요. 모의 계산 뒤 신청을 권해요. 

 

 

근거
 - 기준 중위소득의 정의·고시 주체(복지부/중앙생활보장위원회). 보건복지부 대표홈페이지
 - 2025년 가구원 수별 기준 중위소득(1~6인) 및 4인가구 6,097,773원. 정책브리핑
 - 2026년 4인가구 6,494,738원(전년대비 6.51% 인상) 및 가구별 세부 수치(1~6인). 보건복지부 대표홈페이지
 - 급여별 선정기준 비율(생계32·의료40·주거48·교육50) 2025·2026 동일 유지, 생계급여 예시 수치. 보건복지부 대표홈페이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