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이슈

2025년 9월 수출 401억·무역흑자 19억 달러—반도체·선박이 끌고 에너지는 둔화

by economy news information blog 2025. 9. 22.
반응형

2025년 9월 1~20일 수출 401억·수입 382억 달러, 무역흑자 19억 달러. 반도체 27%↑·선박 46.1%↑, 원유 9.4%↓ 등 품목·국가별 핵심을 정리합니다. 2025년 9월 1일~20일 통관 기준 잠정치에 따르면 수출 401억 달러(전년동기비 13.5%↑), 수입 382억 달러(9.9%↑)로 무역수지는 19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어요. 조업일수는 지난해 13.0일에서 올해 16.5일로 늘었지만, 일평균 수출액은 27.2억→24.3억 달러로 10.6% 감소했네요.

 

 

총괄 요약

수출: 401.15억 달러, 전년동기비 13.5% 증가. 9월(1~20일)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이며 2018년 9월 동기(2위) 대비 높은 수준이에요. 수입: 382.20억 달러, 9.9% 증가. 무역수지: 18.94억 달러 흑자라서 전반적으로 개선 흐름이 나와요.

다만 조업일수 차이를 고려하면 일평균 수출은 10.6% 감소해요. 즉, 총합은 늘었지만 ‘속도’는 둔화된 구조죠.

 

품목별 수출입 핵심

수출 핵심 품목

반도체: 94.89억 달러, 27.0% 증가로 수출 비중 23.7%까지 확대돼요. 승용차: 34.19억 달러, 14.9% 증가. 선박: 15.05억 달러, 46.1% 급증. 무선통신기기: 12.50억 달러, 3.3% 증가. 석유제품은 26.79억 달러로 4.5% 감소해 상반된 흐름이 공존해요.

 

 

수입 핵심 품목

반도체 제조장비: 19.17억 달러, 49.9% 급증. 기계류 18.04억 달러(16.3%↑), 정밀기기 10.95억 달러(19.5%↑), 무선통신기기 8.92억 달러(12.0%↑)가 늘며 설비·중간재 수요 회복을 시사해요. 반면 원유 42.17억 달러(9.4%↓), 석탄 8.14억 달러(4.9%↓) 등 에너지 수입은 전반적으로 둔화됐네요.

항목 금액(억 달러) 전년동기 증감률
반도체(수출) 94.89 27.0%↑
승용차(수출) 34.19 14.9%↑
선박(수출) 15.05 46.1%↑
석유제품(수출) 26.79 4.5%↓
원유(수입) 42.17 9.4%↓
반도체 제조장비(수입) 19.17 49.9%↑

 

 

반도체 장비와 웨이퍼로 표현한 수입 증가 품목

국가별 증감과 의미

수출: 중국 77.67억 달러(1.6%↑), 미국 65.48억 달러(6.1%↑), 베트남 40.56억 달러(22.0%↑), 유럽연합 38.92억 달러(10.7%↑), 대만 24.29억 달러(22.9%↑). 상위 3국(중국·미국·베트남) 비중 45.8%로 집중도가 높아요.

수입: 중국 88.95억 달러(18.8%↑), 유럽연합 43.90억 달러(10.4%↑), 미국 38.94억 달러(6.9%↑), 일본 28.59억 달러(4.5%↑), 호주 20.06억 달러(27.7%↑). 동남아에서는 말레이시아 10.09억 달러(56.1%↑)로 눈에 띄는 증가세가 보여요. 지금부터 차근차근 알아볼게요.

구분 중국 미국 베트남 유럽연합 대만
수출액(억 달러) 77.67 65.48 40.56 38.92 24.29
증감률 1.6%↑ 6.1%↑ 22.0%↑ 10.7%↑ 22.9%↑

 

일평균 감소 해석

포인트 1: 총합 증가 ↔ 일평균 감소. 올해는 조업일수가 3.5일 더 많아 총액이 커졌지만, 같은 일수로 나눠보면 ‘속도’는 낮아졌다는 뜻이에요. 이는 선적 일정 분산, 가격 조정, 전년 기저, 환율·유가 등의 조합으로 해석할 수 있어요.

포인트 2: 품목 믹스 변화. 반도체·선박·자동차가 이끌고 석유제품이 둔화하면서 금액·단가 구조가 재편되는 국면이에요. 반도체 비중이 23.7%로 2.5%p 확대된 점은 수출 주도권이 IT 사이클 회복 쪽에 있음을 시사하죠.

 

 

기업을 위한 체크포인트

공급망 및 조달

에너지 수입 둔화는 단가·물량 조정의 여지를 주지만, 유가 변동 리스크는 여전히 상존해요. 중장기 조달 계약의 가격 조항과 해상운임 변동을 함께 점검하세요.

설비투자 시그널

반도체 제조장비·기계류·정밀기기 수입의 동반 증가는 설비투자 재개 신호로 읽혀요. 장비 밸류체인(부품·소재·서비스) 기업은 4Q 납품·A/S 캐파 계획을 선제적으로 맞추는 게 좋아요.

수출 시장 전략

상위 3국 비중이 45.8%라 집중 리스크가 커요. 베트남·대만·EU의 두 자릿수 성장 구간에 제품 포트폴리오를 맞춰서 프로모션·현지 파트너십을 확대해 보세요. 이 정도면 감이 오시네요.

 

한국 수출 항로와 컨테이너 선박을 표현한 벡터 일러스트

 

 

반응형